📘ISO 19650-1이 뭔가요?
ISO 19650 시리즈는 건설 프로젝트에서 '어떻게 하면 정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을까?'에 대해 설명하는 통합적인 가이드라인이에요.
현재 출판 중인 ISO 19650-6을 포함해 총 6개 파트로 구성돼 안전한 설계와 시공부터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프로세스를 정의하죠.
그중 ISO 19650-1은 정보 관리를 위한 개념과 원리를 설명하는 표준이에요.
건설 프로젝트의 전 생애 주기 동안 BIM을 활용해 어떻게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지 정의하는 게 주요 내용입니다.
표준 용어와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며 전체 시리즈의 기반이 되는 표준이에요.
ISO 19650-1을 취득하면 어떤 혜택이 있나요?
1. 🗂️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어요.
ISO 19650은 프로젝트의 모든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저장할 수 있는 기준을 제공해요. 어떤 정보가 어디에 있는지 쉽게 찾을 수 있고, 잘못된 정보로 발생하는 혼란도 줄일 수 있죠.
2. 💰운영 비용을 절감할 수 있어요.
지속적으로 프로세스를 개선하다 보면 효율적인 운영이 가능해져요. 낭비 요소를 줄이는 시스템을 구축하면 전반적인 비용 절감의 효과를 얻을 수 있죠.
3. ⚠️리스크 관리를 개선해요.
표준화된 프로세스를 통해 데이터의 오류와 누락, 중복을 예방할 수 있어요. 특히 프로세스 초기 단계에서 정보 요구사항을 명확히 정의하면, 나중에 생길 수 있는 문제를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답니다.
4. 🫧기업의 투명성과 신뢰성이 강화돼요.
정보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모든 참여자가 동일한 데이터를 공유하면 프로젝트의 진행 상황과 결과를 더 투명하게 볼 수 있어요. 이건 협력 업체와 고객에게 신뢰를 줄 뿐만 아니라 프로젝트의 성공 가능성을 높이는 것에도 도움이 돼요.
5. ⚖️올바르게 법규를 준수할 수 있어요.
ISO 19650을 취득하는 과정에서 법적 내용이나 규정의 요구사항이 기업과 고객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 이해할 수 있어요. 이를 통해 법적 요구사항을 충족함과 더불어 규제 기관과의 문제도 감소합니다.
6. 🌐평판이 좋은 업체로 세계적인 인정을 받을 수 있어요.
글로벌 시장에서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기준을 충족하는 게 정말 중요하죠. ISO 19650을 취득하면 "이 회사는 믿을 만하다"는 이미지가 전 세계적으로 퍼질 수 있어요.
ISO 19650-1, 어떤 내용을 담고 있을까요?
ISO 19650-1은 13개 조항의 요구사항으로 구성되어 있어요.
처음 3개의 조항은 범위, 참조 및 용어의 정의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해요.
1. 🎯 적용 범위 (Scope): ISO 19650-1이 어디에 사용될지 설명해요.
2. 📑 인용 표준 (Normative references): 표준과 관련된 중요한 개념과 용어를 설명해요. 규정 준수 담당자와 팀원들이 표준을 이해하고 따르는데 큰 도움이 돼요.
3. 📃 용어 및 정의 (Terms and definitions): 표준에서 사용되는 특별한 단어들의 뜻을 설명해요. 예를 들어, "이해관계자"가 누구를 말하는지, "시정 조치"가 무엇인지 등을 알려주는 거죠. 이렇게 하면 표준의 내용을 더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어요.
나머지 10개 조항은 기업이 인증을 취득하기 위한 건물 정보 모델링 관리를 위해 꼭 지켜야 하는 요구사항들을 담고 있어요.
4. 자산 및 프로젝트 정보, 관점 및 협업 (Asset and project information, perspectives and collaborative working) | 프로젝트와 자산의 정보를 어떻게 관리하고 협업해야 하는지 큰 맥락에서 이해해야 해요. 이를 통해 정보의 흐름을 원활하게 만들 수 있어요. |
5. 정보 요구사항 정의 및 결과 정보 모델 (Definition of information requirements and resulting information models) | 필요한 정보가 무엇인지 정의하고, 최종적으로 만들어야 할 결과물을 명확히 해야 해요. 예를 들어 설계 도면이나 유지보수 문서처럼 말이죠. |
6. 정보 전달 주기 (The information delivery cycle) | 정보를 언제, 어떻게 전달할지 계획하는 단계에요. 예를 들자면 설계 단계에서 완료된 도면을 시공팀에 전달하는 시기를 전하는 것이죠. |
7. 프로젝트 및 자산정보 관리 기능 (Project and asset information management functions) | 프로젝트와 자산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요한 도구와 프로세스를 갖춰야 해요. |
8. 배송팀 역량과 능력 (Delivery team capability and capacity) | 프로젝트 팀이 정보 관리와 관련해 필요한 역량과 기술을 갖췄는지 확인하는 단계예요. 팀워크와 전문성이 중요하답니다. |
9. 정보 컨테이너 기반 협업 (Information container-based collaborative working) |